• 사업소개
  • 사업소개

사업소개

에너지신산업 필요성 및 목표

주요내용
  • 필요성
    • 에너지 효율향상은 지능형 전력망 및 에너지소재, 에너지원 등 포함하는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핵심기술
    • 광주전남 에너지밸리 집적효과, 광주전남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인재육성 필요, 한전과 연계된 중소기업 협력체계 강화, 서남해안 대규모 해상풍력 추진
    •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미래에너지 지식산업 주도를 위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에너지산업 활성화를 위해 에너지신산업 허브 필요
  • 추진목표
    • 광주전남은 소재부품 중심의 산업 구조혁신을 통해 기술자립, 수요 확보 및 기술경쟁력 강화로 밸류체인 상의 동반성장 산업구조 형성
    • 신재생에너지/농업에너지 분야의 인력 양성, 에너지 특화기업 육성, 에너지 효율화 기술개발
    • 수요맞춤형 창의융합 전문 기술인력 양성, 사업화 품목개발 및 창업 지원체계 확립, 고부가가치 사업화 품목개발 및 지역산업 활성화, 창업지원으로 일자리 질 향상 및 공급 확대
  • 주요성과
    • 에너지효율향상 全분야 인력양성, 기업의 기술내재화, 신시장 창출, 기술고도화
    • 신재생에너지 인재 양성, 중소‧중견 기업 육성지원,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기여, 농업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
    • 창업 실무인력 양성, 창업활성화 플랫폼 운영, 에너지

에너지신산업 과제 소개

핵심분야 대과제 소과제
  • 에너지신산업
  • *지자체:광주광역시(에너지산업과)
    전라남도(에너지신산업과)
  • *중심대학:전남대학교
  • 미래 에너지 효율 향상 융합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 지역 밀착형 스마트 그리드 인력양성 프로그램 운영
  • 지역산업 활성형 스마트 그리드 요소기술 고도화
  • 지능형 에너지 4.0 소재부품 융합인재 육성 및 기술 고도화
  • 미래에너지 창업 실무 융·복합 연계 인재 양성 및 기술 고도화
  • 광주/전남 지역사회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 고도화
  • 기후변화 대응형 신재생에너지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 태양광·풍력 중심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 및 기술 고도화
  • 바이오 중심 신재생농업에너지 인력양성 및 기술 고도화
  • 에너지신산업 창업 활성화
  • 에너지신산업 창업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 에너지신산업 창업 기술 고도화

광주전남의 에너지 산업 연계 시너지

광주전남의 원천기술 및 에너지원, 광주,전남 한전 에너지밸리 미래형 운송기기 밸리, 빛가람 혁신도시·도첨산단 일원 2020년까지 500개 기업유치 (19년 6월 기준 369개 유치,투자실현 217기업), 스마트그리드, 직류 송배전 및 MG 핵심부품 기술, 에너지 IoT 플랫폼 기술, 에너지 효율향상, 전압형 HVDC 및 MVDC 전력 기술, 신재생에너지 및 ESS용 전력변환 기술, 태양광, 초저가형 플라스틱 태양전지 기술, 수소·연료전지, 고활성·고내구성 수전해 소재기술, 연료전지 스택 및 시스템 제작기술,친환경조선, 항공, E-모빌리티, 드론, LNG, 수소, 부생수소 생산량 연간 55만 톤, 전국164만톤의 34%, 전국2위, 조류, 잠재량 9.6GW, 전국 12GW의 약 80% 보유, 풍력, 잠재량19GW, 전국의 약 20%, 해상풍력 12.4GW, 전국 1위, 태양광, 1일 평균 일사량 3.89kwh/m2, 전국 평균 대비 7%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