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3
지역혁신플랫폼, 그 현황은 무엇인가?
지역혁신플랫폼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서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들이 단일 또는 복수형의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대학, 기업, 연구소 등의 지역혁신기관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1. 광주∙전남 ∘ 핵심분야 : 에너지신산업, 미래형운송기기 ∘ 대학: (총괄)전남대학교, (중심)목포대학교 등 15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520개 기관 2. 울산∙경남 ∘ 핵심분야 :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 스마트제조ICT, 스마트공동체, 미래모빌리티, 저탄소그린에너지 ∘ 대학 : (총괄)국립경상대학교, (중심)창원대학교, 경남대학교, 울산대학교 등 13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140개 기관 3. 충북 ∘ 핵심분야 : 제약바이오, 정밀의료∙의료기기, 화장품∙바이오 ∘ 대학 : (총괄)충북대학교 등 15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172개 기관 4. 대전∙세종∙충남 ∘ 핵심분야 :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모빌리티ICT ∘ 대학 : (총괄)충남대학교, (중심)공주대학교 등 24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141개 기관 5. 대구∙경북 ∘ 핵심분야 : 전자정보기기, 미래차융합부품 ∘ 대학 : (총괄)경북대학교, (중심)영남대학교 등 23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214개 기관 6. 강원 ∘ 핵심분야 : 정밀의료,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수소에너지 ∘ 대학 : (총괄)강원대학교, (중심)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강릉원주대학교 등 15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60개 기관 7. 부산 ∘ 핵심분야 : 스마트 항만물류, 친환경 스마트 선박, 클린 에너지 융합부품소재 ∘ 대학 : 부산대학교 등 21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부산테크노파크 외 80개 기관 8. 전북 ∘ 핵심분야 : 미래 수송기기, 에너지신산업, 농생명·바이오 ∘ 대학 : 전북대학교 등 9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자동차융합기술원 외 105개 기관 9. 제주 ∘ 핵심분야 : 청정바이오, 그린에너지·미래모빌리티, 지능형서비스 ∘ 대학 : 제주대학교 등 4개 대학 ∘ 지역혁신기관 : 카카오 외 17개 기관
지역혁신사업의 선순환구조란 무엇인가?
대학의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은 핵심분야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이는 다시 새로운 인력수요를 창출하여 대학의 경쟁력 강화, 청년의 지역 취․창업 증가로 이어지는 지역혁신의 새로운 생태계를 나타냅니다. 광주전남지역혁신플랫폼은 지역대학 간 개방과 협력을 통해 핵심분야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융합전공을 운영하는 등 지역대학과 함께 대학교육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교등교육혁신의 표준모델로 개방형 맞춤식 교육혁신방안을 제시하고, 고교-대학연계 프로그램 운영, 공동교육과정 개설,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추진 등 지역대학의 교육역량강화와 인재양성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지역혁신기관의 협업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지역혁신플랫폼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서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들이 단일 또는 복수형으로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대학, 기업, 연구소 등 지역혁신기관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는 지역 인재육성을 총괄하는 권한을 가지며, 이에 필요한 전반적인 협업체계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참여대학은 중심대학과 총괄대학으로 구분합니다. 중심대학은 각 지역의 핵심산업 분야를 주관하는 대학으로 지자체 관련 부서와 함께 핵심분야별 팀을 구성하여 핵심분야 과제를 설정하고, 추진에 관한 제반사항을 관리합니다. 총괄대학은 중심대학 가운데 대학부문을 대표하고, 대학교육혁신본부를 주관하며, 전체 사업비 등을 관리합니다. 핵심분야는 지역주력산업, 지역현안 등 다양한 범위에서 선정됩니다. 지역주력산업은 지역특성에 따른 유망 신산업 기업육성을 위해 지역이 선택한 분야입니다. 해당 지역 내 경쟁력이 있는 경제․산업․사회․문화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영역 중심으로 결정됩니다.